 <책 표지> 책을 쓰게 된 목적 안 종 수
때 늦은 감은 없지 않지만 근래에 일본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 평전 및 몇 권의 아나키즘 관계 서적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 연대를 기본으로 하는 아나키스트들의 국제적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는 연구과제로 취급 되지 않았다. 그런데 1920-30년대의 아나키스트들은 어떻게 국제적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했을까? 에스페란토어의 문제를 고찰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아나키스트들이 어떻게 국가와 언어 장벽을 뛰어넘어 상호관계를 맺고 국제적 연대를 형성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오스기 사카에의 에스페란토어 서신이 어는 일본 아나키스트 이면서 에스페란티스인 70년 넘게 일본 아나키스크 에스페란티스토에 의해서 보관 된 것을 찾아낸 것을 비롯하여 러시아 동화 작가이면서 한중일 아나키스트에게 많은 영향력을 끼친 에로셍코의 관계라 바라. 지금까지 아나키스와 에스페란토관련에 있어 양쪽 다 자료의 부족이라고 바라 볼 수 있지만 보다 심층적으로 한중일, 그리고 대만을 포함하여 보다 심층적인 아나키스트들의 활동상을 바라보아야 하지 않을까. 아나키스트들은 국경을 넘는 연대 활동을 가장 열심히 전개하였기에 그 안에서 어떻게 에스페란토가 언어로서 받아들여지고 국제적 연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또한 그들이 수행한 활동을 반추를 통하여 과거의 아나키즘에서 현실의 아나키즘 운동의 방법론을 고민 해 보고, 국제 공용어운동의 일반성과는 다른 관점에서 평화의 언어로서 민제적(民際的)관계 속에서 에스페란토를 살펴보려고 노력 했다.
Temo de Studo/ 에스페란토 아나키즘 평화
1. 동북아시아(한국, 일본, 중국)에 제국주의화를 거치면서 도입된 이론 중에 막시즘과 아울러 아나키즘이 어떻게 자국에서 수용되고 전개 발전 되는 것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에스페란토가 아나키스트들에게는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해 갔나를 살펴보고자 한다.
2. 현재 나와 있는 에스페란토 운동사에 대한 재조명 국내에 에스페란토가 받아들여지고, 발전 해 나가는 과정 속에 사회, 정치, 문화적인 측면 보다는 언어 운동적인 측면으로 진행 된 운동사 대한 재조명 작업과 아울러 동북아 3국에서 선진적 지식인들에게 에스페란토가 수용되고 발전되는 과정에서 아나키스트들이 국제적 연대에서 실제로 에스페란토가 적극적으로 사용된 점을 사실적 확인 작업 및 그들이 얽혀있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3. 동북아 아나키스트의 역사 동북아 3국의 가장 선두에서 자국의 국가들의 틀을 바꾸려고 한 아나키스트토들의 투쟁은 민족주의자들과 볼세비키스트들과 투쟁의 역사이다. 그들에게 국가라는 틀을 넘어 국제 연대를 실현한 그들의 삶의 궤적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4.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아나키즘은 무엇인가? 아나키즘의 현대적 의미를 통한 새롭게 나타나는 아나키스트들의 활동상. 아나키스트 와 에스페란토 그리고 평화란?
목 차
1. 20세기 아나키즘 2. 아나키즘의 어원 3. 노자와 아나키즘 4. 문자와의 관계-국제주의 5. 권력/국가의 부정 6.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7. 민족주의와 대립 8. 볼세비즘과 투쟁 9. 동북아에서의 에스페란토 보급 10. 중국에서의 아나키즘과 에스페란토 11. 일본에서의 아나키즘과 에스페란토의 흐름 - 오스기 사카에의 에스페라토 글 12. 조선의 에스페란토 - 아나키스트로서의 삶 13. 에로셍코 - 그들의 만남 14. 아나키스트의 샘터 대구 15. 1930년 국내 아나키즘과 에스페란토운동 16. 남화한인청년연맹 17. 해방 후 아나키스트 조직 18. 21세기 아나키즘 19. 현대 아나키스트 운동의 조류들 - 문화/경계/연대/네트워크 - 페미니즘 - 종교 22. 아나키와 평화 23. 공용어와 interpopola < 별첨> 자멘호프의 글 김산의 에스페란토 글 에로셍코의 일본에서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