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올란드 정부의 새로운 문화정책
문화관련 정보 |
2012/10/23 11:01
|
|
올랑드 정부의 새로운 문화정책
글 : 김동준(재불 음악평론가, 르쉐네음악원 교수)
프랑스의 9월이 소란스럽다.
보통대통령을 자처하는 프랑수와 올랑드가 니콜라 사르코지를 누르고, 새로운 대통령이 된 이후로 4개월이 흘렀지만, 새로운 정부의 움직임이 프랑스인들의 피부에는 여전히 와 닿지 않고 있다. 최근 프랑수와 올랑드는 프랑스의 민영방송 채널인 TF1에 나와서 인터뷰를 가졌다. 텔레비전 방송이 엘리제궁으로 가는 그 동안의 전례를 깨고, 대통령이 방송국으로 이동한 것이 사건이라면,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었다. 방송에서 그가 발표한 경제관련 대책은 현재 프랑스 국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1백만 유로(한화 약 15억)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사람들에 대해서 75퍼센트의 세금을 걷겠다는 정책 때문에 프랑스의 많은 고소득자들이 다른 나라로 눈을 돌리고 있다. LVMH의 최고경영자인 베르나르 아르노의 벨기에 국적 신청은 현재 가장 뜨거운 프랑스의 이슈 가운데 하나이다. 아르노가 벨기에 국적을 취득하면, 프랑스와 벨기에 이중국적을 소지하게 되는데, 그의 진의에 대해서는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공식언론발표에서 아르노는 프랑스인으로서의 의무를 다 할 것이며, 세무 관련한 모든 의무를 지킬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언론과 국민들은 그를 향해 비난과 분노를 쏟아 내고 있다. 일반시민들의 세금도 상향 조정됨은 물론이다. 방송에서 프랑수와 올랑드는 프랑스 국민들에게 애국주의를 호소했지만, 언론과 국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싸늘하다. 재정적인 문제를 임기 동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프랑스 국민들에게 강제적으로 느껴지게 하고 있으며, 심지어 그가 프랑스 경제를 망가뜨리려 하고 있다는 여론까지 있다.
문제는 문화이다. 올랑드 정부는 이미 문화관련 예산의 삭감을 발표해서, 문화계의 원성을 사고 있다. 그 동안은 1퍼센트 정도라도 문화관련 예산을 증가시켜 왔는데,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지만, 3퍼센트 정도의 예산삭감이 있을 거라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예산 삭감으로 우선 프랑스 역사박물관의 건립이 중단되었고, 코메디-프랑세즈와 오페라 바스티유에 새로운 공연공간을 추가로 건축하기로 한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특히 코메디-프랑세즈의 경우는 과거부터 번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공사가 시작된 필하모니아는 막대한 공사비와 추가비용에도 불구하고, 2014년 완공을 목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필하모니아의 건축 발표 당시 파리 음악계와 공연계에서는 오케스트라 전용 연주회장이 될 필하모니아의 건축 문제를 놓고 찬반토론의 열기가 뜨거웠었다.
클래식 음악관련 종사자들은 올랑드 정부가 초등학교부터 음악교육을 의무화할 것인지, 말 것인지의 여부에 커다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올랑드 정부는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했다. 만일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이 의무화된다면 매년 쏟아지는 수많은 음악전공자들과 음악관련 교육 학위 취득자들에게는 정말로 숨통이 트이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신학기에는 그것이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새로운 문화부 장관 오렐리 필리페티는 여성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문화부 장관이 되었는데, 올해 39살의 젊은 나이로, 소설가이기도 하다. 그의 아버지는 오덩-르-티슈의 시장을 지냈으나, 한때 탄광에서 광부로 일했는데, 필리페티는 광부들의 삶과 그들과 사회와의 관계를 다룬 소설을 쓰기도 했으며, 2006년에 사회당에 입당했다. 그녀의 문화부 장관 임명은 정치이력으로 본다고 해도, 매우 빠른 것은 사실이다. 르몽드와의 9월 10일자 인터뷰를 통해서 오렐리 필리에티는 문화관련 정책에 대한 방향을 얘기했다. 그녀는 우선 지금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문화예술인들도 함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녀는 예술을 노동으로, 문화를 일자리로 간주한다. 문화예술을 가르칠 사람들을 양성하는 데에는 재정을 오히려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는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부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올랑드는 문화예술 교육의 특수성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현 교육부 장관인 뱅상 페이용이 필리페티 문화부 장관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정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프랑스 문화계를 떠받치는 시스템으로 잘 알려져 있는 엥테르미탕 뒤 스펙타클(Intermittent du Spectacle : 공연, 영상 분야 비정규직 예술가와 기술직들을 위한 실업보험제도이다. 수급 대상이 되기 위한 최소 근로 기간은 스태프의 경우 지난 10개월 중 최소 507시간, 배우 및 연주자는 지난 10개월 15일 중 최소 507시간으로 최대 수급 기간은 8개월이다.)에 대한 제도적인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이 제도를 통해서 수입을 늘리거나, 악용한 사례들 때문에 제도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들이 있었지만, 필리페티 문화부 장관은 필요 이상의 특혜를 누리는 예술인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디지털 문화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오늘날 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은 구글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접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어떠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비슷한 정보와 자료를 공유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기 때문이다. 브뤼셀에서는 구글에 관세를 부과하는 논의가 열렸는데, 이 회의에서는 디지털 문화와 전통 문화와의 공존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있었다.
실제로 재정 감축과 압박 등으로 프랑스 문화예술계는 다른 분위기이다. 그리고 이 기류의 변화는 프랑스의 실업인구가 3백만이라는 현실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예술가들의 창작력이 더 풍요롭게 발휘되었다. 물질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상상력과 창의력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프랑스 문화계가 지금의 경제적인 압박을 어떠한 방식으로 극복해 내는지를 지켜보는 일도 매우 흥미로울 것이다.
|
|
|
이 글의 관련글(트랙백) 주소 :: http://esperamondo.com/es/trackback/158 |
|
|
|
|
|
일본 전통축제 ‘마쓰리’, 지역의 부흥과 재생을 이끌다
문화관련 정보 |
2012/09/10 17:58
|
|
글 : 장지영(국민일보 기자) 일본을 흔히 ‘축제의 나라’라고 한다. 1년 내내 축제가 열리기 때문이다. 축제를 가리키는 일본어의 ‘마쓰리’(祭り)는 원래 신과 선조에게 농사의 풍작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례를 가리킨다. 일본의 대표적인 종교시설인 신사(神社)를 중심으로 지역 곳곳에서 오랫동안 행해졌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종교성은 약화되고 지역 주민들이 모이는 집단 행사로서의 성격이 좀 더 강해졌다. 게다가 원래부터 제사와 관계없이 발생한 떠들썩한 행사는 물론이고 유키마쓰리(눈축제), 하나비마쓰리(불꽃축제)처럼 현대의 이벤트도 마쓰리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 식민 통치와 근대화 과정을 겪으면서 강릉 단오제 등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전통축제가 사라졌다. 일제강점기나 군사 독재 시절 모두 제를 지내거나 굿을 지내는 형태의 우리 전통축제를 미신으로 간주해 타파 대상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 열리는 향토축제는 각 지역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비슷비슷하다.
하지만 일본은 신사와 깊은 관계를 가진 전통적인 마쓰리가 여전히 많이 남아 있으며, 이런 마쓰리가 열리지 않는 달이 없을 정도다. 그리고 이들 마쓰리는 커뮤니티에 일체감을 줘서 지역 통합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관광객을 유치해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특히 지난해 3.11 동일본 대지진 이후 마쓰리를 통해 다시 한 번 지역을 부흥시키고 재생시키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 마쓰리는 일본 전통문화의 결정체
마쓰리는 일본어의 어원부터가 신에게 제사지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과거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기원, 감사, 사죄, 복종 등을 나타내기 위해 시작된 의식이 점점 양식화된 것이다. 연중행사나 통과의례와 관련돼 행해진 것이 많기 때문에 일본인의 일상생활과 깊이 연관돼 있다. 일본인들은 마쓰리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파악했고, 마쓰리에 참가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의 역할을 했다.
현재 일본 전역에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적인 마쓰리는 각기 다른 배경과 내용을 가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 규모에 따라 수백여 명이 참가하는 것부터 수백만 명이 참가하는 것까지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신을 받들어 모시고 대접해 건강과 행복을 보장받고자 하는 최종 목적은 모두 같다. 따라서 세부적인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 비슷한 절차로 행해진다. 즉 신사의 신위를 제례용 가마인 ‘미코시(神輿)’와 수레인 ‘다시(山車)’로 옮겨 마을을 행진한 뒤 다시 본래의 안치된 장소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때 참가자들은 마쓰리를 통해 자기 자신과 주위를 정화한다.
마쓰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미코시와 다시의 행렬이다. 미코시는 나무틀 위에 신단을 올려놓은 것으로 신사를 축소한 것으로 보면 된다. 크기에 따라 적게는 10여 명 많게는 100여 명이 메야 하는데, 사람들이 구호에 따라 미코시를 짊어지고 행진한다. 또 제례용 수레인 다시는 집 모양으로 만들어 지붕을 씌운 뒤 그 위에 인형과 꽃 등으로 장식한 것이다. 높이가 낮은 것은 5~6m, 높은 것은 20여m에 이른다. 미코시나 다시를 메는 젊은이들은 북에 맞춰 구호를 외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행렬을 따르는 주민들 역시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며 구경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본 전역의 신사 관리를 담당하는 ‘신사본청’에 따르면 이런 마쓰리가 약 30만 개가 있다고 한다. 전국에 등록된 신사가 8만 개이기 때문에 1곳당 연중행사로 열리는 마쓰리를 4개씩만 잡아도 족히 나오는 숫자다. 하지만 1만 명 이상 참가하는 규모에 각 지역의 대표성을 지닌 것으로 범위를 줄여도 2~3천 개 정도다.
이들 마쓰리 가운데 도쿄의 간다마쓰리(神田祭), 교토의 기온마쓰리(祇園祭), 오사카의 덴진마쓰리(天神祭)는 일본의 3대 마쓰리로 일컬어진다.
간다마쓰리는 도쿄의 간다 신사에서 열리는 마쓰리로 에도시대 일본을 통치한 도쿠가와(德川) 막부가 자리 잡았던 곳에서 열리는 만큼 규모도 크고 웅장한 것으로 유명했다. 또한 막부의 장군이 직접 보는 유일한 마쓰리였기 때문에 ‘천하 제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산노마쓰리(山王祭), 후카가와마쓰리(深川祭)와 함께 에도의 3대 마쓰리로도 알려졌다. 원래는 매년 열렸지만 1681년부터 산노마쓰리와 격년으로 열리고 있다. 이에 따라 홀수 해에는 간다마쓰리, 짝수 해에는 산노마쓰리가 성대하게 열린다. 원래는 음력 9월 14~17일에 열렸으나 지금은 양력 5월 중순의 주말로 바뀌었다.
기온마쓰리는 오랫동안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의 야사카 신사를 중심으로 열린다. 헤이안시대인 869년 전국 각지에 전염병이 돌고 많은 사람들이 죽자 병과 악귀를 퇴치하기 위해 어령회(御靈會)를 연 것에서 비롯됐다. 당시 융성했던 불교의 영향으로 부처를 수호하던 우두(牛頭) 천왕을 제신으로 한다.
매년 7월 1~31일 한 달 동안 열리지만 다시의 일종으로 산 모양의 대 위에 창과 긴 칼을 꽂은 ‘야마보코’ 수십여 대의 행진이 이뤄지는 17일과 그 전날이 하이라이트다. 야마보코는 2층으로 되어 있는데 큰 것은 높이가 26m, 무게가 2톤에 달한다. 그리고 야마보코의 행진에 맞춰 주민들은 춤을 춘다. 고대의 원형을 상당 부분 보존하고 있는 기온마쓰리는 일본의 주요 무형문화재로도 지정돼 있다.
덴진마쓰리는 하늘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천신제(天神祭)로 오사카를 대표하는 축제다. 헤이안시대인 949년 ‘학문의 신’으로 추앙된 스가와라노미치자네(管原道眞)의 진혼제를 올린데서 시작됐다. 매년 7월 24~25일 텐만구(天滿宮) 신사에서 열리며 오사카의 도시마가와 및 오가와 강에 1백여 척의 배를 띄우는 것이 특징이다. 1930년대에는 축제에 참가하는 배의 수가 2백여 척에까지 이르렀으나 현재는 경비절감 문제로 1백여 척으로 제한돼 있다. 규모를 줄였지만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의 행렬은 매우 화려해서 일본의 3대 수상제(水上祭)로 꼽힌다.

그런데, 3대 마쓰리 가운데 간다마쓰리는 메이지 시대 이후 도쿄 도로에 노면전차가 들어서고 전신주가 세워지면서 미코시나 다시의 행진이 쉽지 않게 돼 점점 규모가 축소됐다. 여기에 관동 대지진과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다시가 완전히 사라지고 지금은 미코시만 남아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원형을 많이 상실한 간다마쓰리 대신 화려하고 아름다운 동북지방 아오모리의 네부타마쓰리나 센다이의 다나바타(七夕)마쓰리를 3대 마쓰리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동일본 대지진 이후 중요성 커진 마쓰리
일본 각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마쓰리는 오랫동안 지역 공동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해왔다. 지역 주민들은 여러 달 동안 마쓰리를 준비하는데,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들이 사는 지역에 대한 긍지를 자연스럽게 가진다. 또한 각각의 역할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생각을 강하게 느낀다. 이 때문에 일본인 특유의 단결된 협동정신의 원천은 어려서부터 일생 동안 체험하는 마쓰리에서 나온다는 해석도 있다.
예를 들어 거대한 등불인형 행진으로 유명한 네부타마쓰리의 경우 매년 높이 20m 안팎의 등불인형을 만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의 협동 작업이 필수적이다. 40~50개 부분으로 나눠 만든 뒤 조립해야 되기 때문에 디자인과 제작을 총괄하는 네부타 장인을 필두로 목수와 전기배선자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힘을 모으지 않으면 안된다. 게다가 행진 때 아오모리의 관공서, 기업이나 학교는 물론 유치원까지 참여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상당수가 마쓰리에 깊이 연관돼 있다.
또한 마쓰리는 각 지역의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일본 전역에서 마쓰리를 테마로 한 다양한 관광 상품이 개발돼 국내외 관광객을 유혹하고 있다. 동북 지방의 경우 아오모리의 네부타마쓰리, 아키타의 간토(竿燈)마쓰리, 센다이의 다나바타(七夕)마쓰리 등을 보기 위해 7~8월에만 3백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온마쓰리나 덴진마쓰리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쓰리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매년 10월 열리는 ‘지역 전통예능 전국 페스티벌’은 일본 전역의 마쓰리를 한 자리에 모은 것으로 마쓰리를 통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마치즈쿠리’를 논의한다.
하지만 아무리 전통과 역사를 중시하는 일본이라도 모든 마쓰리가 요즘 현대 사회에서 계속 살아남기란 쉽지 않다. 노인들만 남은 시골이나 지역 커뮤니티의 연대감이 크지 않은 대도시에서는 미코시와 다시를 끌 젊은이들의 부족으로 중단되는 경우마저 나타날 정도다. 이 때문에 원래는 지역 주민이 해야 할 가마꾼이나 수레꾼의 역할을 다른 지역 마쓰리와 품앗이로 나눠하거나, 비용을 지불하고 인력을 고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지난해 3.11 동일본 대지진은 지역 마쓰리의 중요성을 좀 더 실감하는 계기가 됐다. 당시 일본 국민들이 마쓰리를 통해 대지진 피해의 아픔을 딛고 다시 일어서기 위한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고 나서 2달 밖에 되지 않았던 지난해 5월 도쿄의 산자마쓰리(三社祭)와 간다마쓰리가 잇따라 취소됐다. 1989년 히로히토 국왕이 사망했을 때도 열렸던 산자마쓰리가 열리지 않은 것은 당시 일본 국민의 충격과 슬픔이 얼마나 컸는지 말해준다.
하지만 좀 더 시간이 흐르자 일본 국민들은 자숙하기보다는 마쓰리를 찾기 시작했다. 대지진과 쓰나미의 피해가 컸던 동북 지방에서는 대부분의 마쓰리가 다시와 미코시 등 필요한 도구들이 망가지거나 없어졌지만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예정대로 실시됐다. 예년에 비해 이곳 마쓰리를 찾은 외국 관광객은 많이 줄었지만 내국 관광객은 예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이들 마쓰리를 주최하는 지자체는 대지진 당시 원전 폭발로 방사능 오염된 후쿠시마현 등지의 이재민 수천여명을 초청해 힘과 용기를 불어넣기도 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기업메세나협의회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GB펀드(문화예술에 의한 부흥지원 펀드)’는 재해지역의 예술 활동과 유무형의 문화자원 재생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마쓰리에 대한 지원 요청이 유독 많은 것은 주민들이 공동체에 닥친 재난을 극복하고 지역을 부흥시키기 위해서다 |
|
|
이 글의 관련글(트랙백) 주소 :: http://esperamondo.com/es/trackback/157 |
|
|
|
|
|
공연예술의 창작과 유통의 플랫폼, 2012 서울아트마켓
문화관련 정보 |
2012/09/10 17:53
|
|
2012 서울아트마켓이 오는 10월 8일(월)에서 10월 12일(금)까지 국립극장과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지에서 열린다. 올해 서울아트마켓은 공연예술의 창작과 제작, 합리적인 유통과 해외진출의 활성화를 위해 재단법인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동유럽 비셰그라드 펀드의 후원으로 개최된다. 아트마켓은 쇼케이스, 부스전시, 학술행사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통해 작품 및 공연예술 정보를 교류하고 긴밀한 만남과 소통을 통해 작품의 제작과 유통을 도모하는 장이다.
올해 8회를 맞는 서울아트마켓은 2005년 개최 이래 국내외 1만 1천 명의 공연예술관계자들이 방문하였으며, 올해는 일본, 말레이시아, 호주, 미국, 캐나다, 우루과이, 독일, 프랑스, 벨기에,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헝가리,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150여 명의 해외인사 및 국내 1천 3백여 명의 공연예술관계자들이 모여 새로운 공연예술정보와 의견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확장한다. 특히, 매년 특정 권역의 공연예술 현황과 이슈를 집중 조명해 오고 있는 서울아트마켓은 2012년, 동유럽 포커스 학술행사와 쇼케이스를 소개한다. 본 프로그램은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4개국의 공동문화기금인 ‘인터내셔널 비셰그라드 펀드’의 후원과, 씨어터 뮤지엄·인스티튜트(헝가리), 씨어터 인스티튜트(슬로바키아), 아담 미츠키에비치 인스티튜트(폴란드), 아츠·씨어터 인스티튜트(체코)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이외에도 캐나다공연예술마켓(CINARS), 일본 요코하마 공연예술회의(TPAM in Yokohama), 스페인 피라타레가 마켓(Fira Tarrega), 월드뮤직엑스포(WOMEX) 등 해외 주요 공연예술마켓과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정보 및 전문가 교환 등 협력과 교류의 깊이를 더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 공연예술기관인 호주예술위원회, 프랑스 인스티튜트(Institut Français) 등과의 교류를 통해 해외공연예술시장에서의 아시아의 대표적인 공연예술 플랫폼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쇼케이스에서는 한국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여, 활발한 해외 진출을 꾀한다. 팸스초이스(PAMS Choice)는 서울아트마켓의 공식 쇼케이스로, 2005년부터 지난 7년간 팸스초이스로 선정된 총 117작품이 아시아, 유럽, 북미, 남미 등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510건 이상의 해외진출 성과를 올렸다. 올해 서울아트마켓 팸스초이스는 연극, 무용, 음악, 복합장르에서 총 13개의 국내 우수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서울아트마켓은 2009년 이래 ‘창조적인 협업 : 창작에서 유통까지’라는 보다 큰 범주에서 작품의 창작단계에서부터 유통을 함께 고민하여 보다 합리적인 제작과 유통체계에 주목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LIP(국제협력파트너찾기, Looking for International Partners) 프레젠테이션과 쇼케이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국내외 공연예술단체들이 창작과 제작, 유통을 위한 협업 파트너를 모집하는 장을 마련한다.
서울아트마켓의 주요 참가 대상은 아트센터, 문예회관 등 공연장 프로그램 담당자, 공연예술축제, 문화축제 등 축제 프로그램 담당자와 공연예술 기획사 및 에이전트, 문화재단, 협회 담당자 등의 문화행정가 그리고 공연예술단체와 예술가, 기획자 등이며, 행사 개최에 앞서 공식홈페이지인 www.pams.or.kr을 통해 30% 할인된 가격으로 온라인 사전 등록을 진행 중이다.
|
|
|
이 글의 관련글(트랙백) 주소 :: http://esperamondo.com/es/trackback/156 |
|
|
|
|
- 작지만 소소하게 느끼며 채워가는 문화 게릴라로서 글 작업을 해 나 가려 합니다 |
<<
2023/03
>>
S |
M |
T |
W |
T |
F |
S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
|
Total : 759880
Today : 20
Yesterday : 595 |
|
|